고슴도치 딜레마란 무엇인가?
고슴도치 딜레마는 너무 가까이하기도 그렇고,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도 여린 인간관계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추위에 견디지 못하고 몸을 기대어 서로 온기를 나누던 두 마리의고슴도치가 너무 가까워지면 서로의 침에 찔리고 그렇다고 서로 너무 덜어져 있으면 추운딜레마에 빠진다는 것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성격적 접근
사람들이 거절과 외면 같은 것으로 보이는 반응을 살펴보는 실험 연구에서 고슴도치 딜레마에 주목했던 실험이 있었는데, 그 결과, 만성적인 불안을 보이는 사람들이 타인으로부터의 거절을 경험한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반사회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낙관적인 성향을 보인 사람들에게는 상대로부터의 거절의 경험이 다른 사람과 가까워지고자 하는 노력의 강화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대해 쇼펜하우어의 고슴도치딜레마가 거론되었습니다. 쇼펜하우어는 사람들이 궁극적으로는 서로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고자 합이라고 말했습니다.
발달적 접근
발달적 측면에서도 다른 설명을 시도해볼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자신과 타인에 대해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 잘 설명하는 이론 중 하나가 애착 이론입니다.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사회적 존재가 됩니다. 사회적 존재로 태어난 인간이 사회적으로 발달하는 데서 가장 중요한 첫 시작은 애착 형성입니다.
생후 6개월경이면 거의 모든 유아는 돌봐 주는 사람에게 가까이 가려고 하고, 돌봐 주는 사람과 함께 있을 때 즐거워하고, 그가 떠나려고 하면 떼를 쓰는 등의 행동을 보입다. 미국의 심리학자 볼비는 어머니와 유아의 이러한 유대 관계를 설명하면서 애착이라는 개념을 처음 사용했습니다. 영아기 및 유아기에 형성된 애착과 부모와의 유대 관계는 성인기의 애착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죠.
이에 기반하여 발달한 애착 이론은 인간의 애착 유형이 양육자가 그의 요구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애착을 형성할 무렵 인간은 자신을 돌봐주는 사람이 자신의 요구에 지지와 보호를 제공하느냐 그렇지 않으냐에 따라 애착 인물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표상을 형성하게 되고, 이와 함께 자신에 대한 표상도 형성하게 됩니다.
즉, 자신이 애착 인물로부터 사랑을 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소중한 존재인가 아닌가로 자신에 대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 표상을 형성하게 됩니다.
'잡다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콩의 영양소, 땅콩의 부작용, 땅콩의 효능 총 정리 (0) | 2023.02.04 |
---|---|
마늘의 효능 정리 (0) | 2023.02.03 |
독재자 게임이란, 독재자 게임이 시사하는 바 (0) | 2023.02.01 |
점화 효과란, 점화 효과 실험 (1) | 2023.01.31 |
초두효과란, 초두효과의 사례 (0)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