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이야기
Part 30. 파이썬 클래스와 객체, 생성자
핸들이없는8톤트럭
2022. 8. 6. 19:32
반응형
파이썬의 클래스(class)
클래스는 객체의 설계도와 같은 역할을 하며, 마치 클래스라는 '붕어빵틀'로 객체라는 '붕어빵'을 만들어내는 것과 같습니다. 동일한 붕어빵 틀로 팥,슈크림 등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동일한 클래스로 다른 객체를 여러 것이 생성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의 객체(Object)
클래스를 기초로 하여 생성된 실제 자료를 객체라고 합니다. 어떤 클래스의 객체를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instance)라고도 합니다. 파이썬은 모든 것이 객체로 되어 있으며, 그 기본이 되는 클래스가 각각 존재합니다. 객체의 경우 실제 메모리를 차지하게 되며, 차지한 메모리의 주소가 저장된 장소가 바로 변수입니다.
클래스의 생성자(Constructor)
클래스에서 객체를 생성할 때에는 생성자라는 특별한 함수를 이용합니다. 생성자는 보통 객체의 속성을 초기화하기 위해 사용되는데요. 생성자를 직접 생성해 주지 않으면, 기본 생성자를 이용해 자동으로 객체를 생성합니다.
class Player :
pass
player1 = Player()
player1.name = 'kim'
player2 = Player()
player2.name = 'Smith'
print(player1.name)
print(player2.name)
# 생성자를 직접 구현하여 객체를 생성
class Player:
def __init__(self, name): # __init__과 self는 default 값
self.name = name
player1 = Player('Kim')
player2 = Player('Smith')
print(player1.name)
print(player2.nam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