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결석이란, 원인, 증상,치료 방법, 예방법
입냄새의 주 원인으로 손꼽히는 편도결석에 대해서 알아보는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편도결석이란?
편도는 입을 벌렸을 때 목젖 양쪽으로 보이는 두툼한 부위를 말합니다. 편도 표면에 작은 구멍에 생기는 분비물 덩어리가 편도결석입니다. 편도결석의 원인은 위에서도 설명해드렸다시피 음식 찌꺼기나 편도 분비물 등이 세균과 반응하면서 만들어지게 됩니다. 크기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결석이라고 하지만 단단하지는 않아서 손으로 만지면 쉽게 부서집니다. 양치질해도 입 냄새가 난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해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목에 무엇인가 걸리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편도결석이 생기는 원인
편도결석의 가장 큰 원인은 만성 편도염입니다. 동그란 편도에 염증이 생기면 구멍 같은 구덩이가 생깁니다. 여기에 음식을 먹을 때마다 음식물 찌꺼기가 소량씩 쌓이고 편도염의 염증 고름도 쌓이고 그것들이 모여서 구덩이 안에서 썩다가 딱딱해져서 커지게 됩니다. 이걸 편도결석이라고 합니다. 크기가 커서 이물감을 느끼는 분도 있고 못 느끼는 분도 있습니다. 편도결석이 생기면 입안에서 구취가 많이 나서 사회생활에 불편을 겪다 병원 진료를 보고 나서야 알게 되는 분도 많습니다.
편도결석의 증상
목 안쪽에 이물감이 느껴지고, 입 냄새가 심해집니다. 입 냄새의 심한 정도는 일상생활을 하면서 엄청 불편할 정도로 느껴지며 양치와 입가심을 해도 입 냄새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편도 결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몸에서 생기는 다른 결석과는 다르게 위에서 말했듯이 큰 질병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편도결석은 편도소와에서 빠져나와 식도 또는 혓바닥 안쪽 등에 달라붙기도 해 불쾌감을 유발합니다. 편도결석이 생길 정도의 편도선은 염증으로 인하여 부어있어 편도선의 크기를 증가시켜 호흡과 식사를 하는데 불편함을 줍니다.
편도결석 제거 방법
편도결석 제거하는 방법은 집에서 하는 방법과 병원에 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방법으로 집에서 제거한다면 추후 편도결석이 더 잘 생기게 되거나 염증이 생길 수 있으니 병원에 가셔서 전문적인 치료를 받으시는 걸 적극 추천해 드립니다! 편도결석은 특별한 질병이 아니기 때문에 그냥 두셔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집에서 제거하는 방법
- 목에 계속 걸리는 듯한 느낌이 나는 편도결석이라면 크게 기침하거나 컥 하는 압력을 주면 자연스럽게 빠질 수 있습니다. 너무 자주 하면 목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 일회용 주사기에 물을 넣고 편도와의 압력을 주어 제거해준다고 하는데요
- 편도결석이 있는 턱 밑을 자주자주 눌러줍니다.
- 셀프 흡입기를 통해 제거 (절대로 면봉이나 칫솔, 손으로 이용해서 건드리면 안 됩니다. 덧날 수 있으며, 면봉으로 일부러 자극을 주게 되면 편도와 더 커져 나중에는 더 큰 편도결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병원 치료 (이비인후과 또는 치과)
- 병원 전문기구를 이용해서 제거
- 레이저 시술
- 편도 절제술
편도결석 예방하는 방법
편도결석이라는 건 제거를 해도 다시 생길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방하는 방법으로 덜 생기게끔 도와줄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은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만들어낸 작은 알맹이입니다. 결국 이 음식물 찌꺼기가 쌓이지 않게만 합니다면 편도결석이 생기는 걸 줄일 수 있습니다.
평소 칫솔질과 입가심을 이용해 구강관리를 철저하게 해 줍니다. 또한, 편도염이 생겼을 때는 미루지 않고 바로 치료해야 합니다. 그리고 편도에 음식물이 쌓이지 않도록 평소에 물을 자주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향균 성분이 있는 가글을 통해서 양치 후 가글을 하는 습관도 편도 결석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