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이야기

리플리 증후군, 리플리 증후군 원인과 증상, 리플리 증후군과 허언증 차이점

핸들이없는8톤트럭 2023. 1. 27. 21:22
반응형

거짓말
출처 : Public Domain Vectors

리플리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리플리 증후군이란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면서 자신이 만들어낸 허구의 세계를 진실이라고 믿고, 그 허구의 세계에서 거짓된 행동과 말을 상습적으로 반복하는 반사회적인 성격장애 뜻합니다. 성취욕구는 뛰어나지만 무능력한 자가 현실에서 본인이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없는 사회구조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발생합니다. 리플리 증후군의 공식적인 진단명을 의학계에서는 공상 허언증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리플리 증후군 원인

리플리 증후군 명확하지는 않으나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이러한 행동은 피해자 심리, 열등감, 성취욕 강함, 무능함, 부정성 등 자기 능력을 과시할 목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간절한 소망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혹은 어린 시절 애정결핍이 있을 때, 현실과 이상이 충돌할 때, 진실을 믿고 시키는 대로 계속하는 것은 큰 문제입니다.

 

리플리 증후군 증상

리플리 증후군 심리적 문제는 심각한 정서적 기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침에는 안정되어 보여도 밤에는 자살 충동을 느낀다고 합니다. 거듭되는 거짓말로 미혹에 빠져 자신의 이익이나 쾌락을 위해 남을 속입니다. 이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재정적, 심리적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관심의 중심이 되는 것을 좋아하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평가하는 방식에 매우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들은 또한 비합리적으로 높은 이상과 자기 홍보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매우 습관적이며 반복되는 거짓말을 수간으로만 사용하여 완전히 해결합니다. 거짓과 망상을 구분하기 어려워지면서 망상장애로 발전하게 됩니다.

 

 

리플리 증후군과 허언증의 차이점

리플리 증후군의 의학계에선 공상 허언증이라고 합이다는데, 이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허언증과는 다릅니다. 대표적 차이점은 허언증은 자신이 타인에게 거짓말을 하면서 그것이 거짓말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반면에, 리플리 증후군은 현실 세계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어서 자신이 하는 말이 거짓말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리플리 증후군을 겪는 사람은 거짓말에 대한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