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이야기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핸들이없는8톤트럭 2022. 7. 17. 13:41
반응형

안녕하세요. 8톤 트럭입니다.

오늘은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분들이 들어보셨을 단어라고 생각되는데요. 막상 "아날로그", "디지털"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설명하라고 하면 대부분 설명하기 어려워 하실 거에요. 가령, 어떤 분들은 아날로그는 옛날 것, 디지털은 요즘 것이라고도 설명하고는 하는데요. 어찌보면 맞는 설명 같기도 하지만, 사실은 정확한 설명은 아닌데요. 오늘 저와 같이 정확한 정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그럼 바로 레츠게릿

배경소개

various color
출처 : Pxhere

여러분은 색깔을 보면 어떻게 말하시나요? 어떤 물체의 색깔에 대해서 다양한 표현 방법이 있죠. 광택이 있는 빨간색, 무광의 검은색, 하얀색 빛을 띄는 초록색 등 색의 표현 방법은 정말 다양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색깔을 표현하는 방법이 바로 아날로그입니다. 음, 설명이 부족한 것 같아서 다른 예시를 한 번 들어볼게요.

자동차 라디오
출처 : Industry Today

여러분은 자동차를 타고 있습니다. 라디오의 노래가 마음에 안들어서 다른 라디오로 바꾸려고 합니다. 그러면 주파수를 조정해야겠죠? 버튼을 돌려 주파수를 조정시키는 것, 연속적입니다. 즉, 이는 아날로그입니다. 아날로그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칭하는 말입니다. 붉은색부터 보라색, FM 90부터 100까지의 라디오 등 연속적인 데이터를 일컫는 말이 바로 아날로그입니다.

 

 

그렇다면 디지털은 아날로그의 반대니까 연속적이지 않은 데이터라는 추론을 할 수 있겠죠. 디지털의 정확한 정의는 바로 0과 1로 이루어진 데이터라는 것입니다. 2진법을 통해서 나타낸 데이터가 바로 디지털입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점

아날로그는 앞서서 연속적인 데이터라고 말씀드렸는데요. 이렇게 연속적인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은 쉬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연속적인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왜곡이 일어나게 됩니다. 즉, 아날로그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는 먼 거리의 데이터 전송에서는 데이터 손실이 일어납니다. 반대로 디지털은 0과 1로만 데이터가 이루어져 있기에 데이터 장거리 전송이 용이합니다. 데이터 처리 속도도 당연히 데이터가 아날로그보다 훨씬 빠르신 것을 추정하실 수 있을겁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예시

여러분은 시간을 볼 때, 벽걸이형 시계를 보면 시계 방향으로 초침, 분침, 시침이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즉, 이렇게 연속적인 시간을 보는 방법이 바로 아날로그형 시계입니다. 애플워치는 이렇게 탁상형 시계 방법이 아니라, 몇시 몇분인지 수치로 알려주는데요. 이러한 방법이 바로 디지털형 시계입니다.

 

이렇게 같은 물체라도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나뉩니다. 물론 디지털이 많은 장점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날로그가 안좋다는 것은 아닙니다. 음악을 들을 때, 아날로그형 음악은 연속적인 음감을 느낄 수 있기에 귀가 밝으신 분들은 아날로그형 음악을 더 선호하기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