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이야기

Part 5. 파이썬의 Idle 에디터에 대하여

핸들이없는8톤트럭 2022. 7. 19. 20:37
반응형

파이썬의 Idle 에디터는 무엇인가요?

지난 번까지는 파이썬의 shell 모드에서 코드를 넣었을 때, 바로 바로 실행되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이렇게 프로그래밍을 진행하면 즉각적으로, 반응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지만, 실제로는 이렇게 하나하나 코드를 실행시킨다면 코드를 작성하는데 무척이나 오랜 시간이 걸릴거에요. 그래서 이러한 shell 모드에서 코드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로직을 갖춘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는 idle을 이용합니다.

 

 

파이썬의 실행시키면 왼쪽 상단에 파일-new file을 통해서 에디터로 접근 할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전달한 내용을 소스 코드라고 하고, 실행 결과가 나타나는 창을 콘솔이라고 하는데요. 메모장처럼 코드를 작성해서 F5를 누르면 소스코드가 실행돼서 콘솔창에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

 

위의 그림처럼 왼쪽의 에디터에서 작성한 소스코드를 F5를 누르면 콘솔창에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idle shell에서 같이 프로그램을 실행해보았는데요. 이제부터는 여러줄의 코딩을 위해서 에디터를 사용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