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이야기

부동산 DTI 정의

by 핸들이없는8톤트럭 2023. 3. 19.
반응형

높은 빌딩
출처 : pxhere

DTI란 무엇인가?

DT는 Debt to income의 약자로 총부채상환비율이라고 합니다. 내가 1년간 벌어들이는 소득으로 빚을 상환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만약 DTI가 40%라면 내가 번 돈의 40%를 빚을 상환하는 데 쓴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1억을 버는데 4,000만 원을 대출 상환에 사용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주택담보대출의 연간 원금 + 이자를 합친 상한 약에 기타 대출 신용대출 등의 연간 이자 상환액을 내가 1년간 벌어들이는 소득으로 나눈 것이 총부채상환비율입니다.

 

 

DTI = 주택 관련 대출 원리금 + 기타 대출 이자 상환액/연간소득

DTI가 높다 = 버는 돈 중에서 많은 부분을 대출 상환하는 데 씁니다 = 생활이 어렵다

 

 

은행 입장에서는 차주의 DTI가 낮은 게 좋습니다. 생활비로 쓸 돈을 모두 대출 상환하는 게 쓰면 결국 대출 상환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통상 DTI는 투기과열지구냐 조정대상지역이냐에 따라서 50%~60% 정도로 제한되고, 다주택자냐 실수요자냐에 따라서 30~60%까지 변동이 있습니다. DTI 가 50%인 지역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다면 나의 소득이 5,000만 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원리금으로 2,500만 원이 되는 한도 내에서만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