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이야기

23년 4월 한국은행 금리 동결 유력!

by 핸들이없는8톤트럭 2023. 4. 12.
반응형

요새 매일 기사를 보면, 경기가 낙관적이라 지속적인 금리 인상을 요구하는 많은 경제 지표들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지난 달 SVB(실리콘 밸리 뱅크) 파산 사태로 점차 금리 동결 및 인하가 기대되는 상황이 전 세계적으로 보이는데요.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4월 기준금리의 방향은 어떻게 되는지 뉴스 기사를 보며 살펴봅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871579?rc=N&ntype=RANKING 

 

한은, 오늘 기준금리 연속 동결 유력…물가보다 이제 '경기'

4%대 초반 물가·경기 하강·SVB발 금융불안 등 고려할 듯 '금리인상 종료·연내 인하' 언급 피하고 추가인상 가능성 남길 수도 신호경 박대한 민선희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11

n.news.naver.com

 

따끈따근한 4월 11일자 뉴스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 금리는 3.5%입니다. 아마 한국 은행 쪽에서도 기준 금리를 결정하기 전 언론에 정보를 내보낼 것인데요. 아마 이 뉴스가 대표적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워낙 가계 대출 비율이 높기 때문에 금리 0.25%이 가계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미국은 사실 근원 인플레이션(일자리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금리 인상을 지속적으로 해야한다는 명분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은 상황입니다. 취업 상황은 녹록지 않고, 실제로 얼마 전 봤던 뉴스에서도 취업안하고 그냥 놀고 있는 청년 인구가 50만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아래 URL 첨부합니다.

http://thepublic.kr/news/view/1065579273434093

 

‘청년 백수 사상최대’ 50만명이 구직활동·취업준비 안하고 그냥 놀았다

[더퍼블릭 = 신한나 기자] 구직활동이나 취업준비를 하지 않고 그냥 쉰 청년층(15~29세)이 5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2월 비경제활동인구(취

thepublic.kr

 

하지만 소비자 물가 추이는약 4% 대에 머물고 있는데요. 아래 그래프를 참고해보시죠.

한국 소비자 물가 추이
출처 : 통계청

위의 그래프는 우리나라 소비자 물가 추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의 상승세는 잡혔지만, 한은의 목표인 2% 정도의 기대 물가지수보다는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 물가와 미국과 한국의 기준 금리 차이도 현재 약 1.5%에 달하는데요.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출처 : 네이버

이러한 점 때문에 베이비 스텝(25bp 인상)도 어느정도 개인적으로 예상했지만, 언론에 이렇게 찌라시를 뿌린 것을 보면 아마 이번에도 동결이 유력하지 않을까 싶네요.

 

우리나라의 경제 체력은 IMF보다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많이 약한 것 같습니다. 장래에는 어떠한 위기에도 강한 대한민국이 되기를 바라며, 혼자만의 끄적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