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문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음의 코드를 보시죠.
lines = [ 1,2,3,4]
print(lines[0])
print(lines[1])
print(lines[2])
print(lines[3])
위의 코드처럼 lines 안의 코드를 출력하기 위해서 하나하나 print를 해주는 것은 무척이나 귀찮습니다. 물론 위의 경우는 리스트 안에 4가지 경우의 수 밖에 없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수 백만 가지의 변수에 접근하기도 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씩 출력하는 것은 무척이나 비효율적입니다. 이럴 때, 반복문을 사용하면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lines=[1,2,3,4]
for line in lines :
print(line)
결과값
1
2
3
4
위의 소스코드를 분석해보죠. line이라는 변수에 lines라는 리스트 안에 있는 데이터를 하나씩 line에 입력 후, 이를 출력하라는 말입니다. 처음이라 어려워보이지만, 훨씬 더 간단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for 문을 이용하면 리스트에 담긴 항목에 순서대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for 반목문과 range
range와 for을 이용해서도 반복문을 만들 수 있는데요. 아래 코드를 참고해보시죠
for i in range(10):
print(i)
결과값
0
1
2
3
4
5
6
7
8
9
range의 동작 메커니즘은 i를 0부터 1씩 증가시키면서 10개까지 세어라입니다. 그래서 0부터 9까지 10개까지 출력되는 것이죠. 또한, print 함수에 다음과 같이 출력하면 줄 바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for i in range(10):
print(i, end=' ' )
결과값
0 1 2 3 4 5 6 7 8 9
for문을 통해서 *그림 그리기
보통 for문을 배우면 * 그리기를 실행하는데요. *을 하나부터 다섯까지 증가시켜봅시다. 아래 코드를 참고하시죠
for i in range(5):
num = i +1
print('*' * num)
결과값
*
**
***
****
for문을 통해서 크리스마스 트리 그리기
*을 통해서 많은 그림을 그릴 수 있는데요. 아래 코드를 참고하시죠
for i in range(4):
print(' ' * (3-i), end=' ')
print('*' * (1+2*i))
for i in range(2):
print(' *')
위 코드를 실행시켜보면, 예쁜 크리스마스 트리를 그릴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자신만의 방법으로 코드를 만들어서 크리스마스 트리를 만들어보세요! 연습이 실력을 늘려요!!
'파이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 8. 파이썬 집합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7.20 |
---|---|
Part 7. 파이썬의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7.19 |
Part 5. 파이썬의 Idle 에디터에 대하여 (0) | 2022.07.19 |
Part 4. 파이썬 튜플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7.19 |
Part 3. 파이썬의 리스트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