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이야기

Part 8. 파이썬 집합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by 핸들이없는8톤트럭 2022. 7. 20.
반응형

집합 자료형은 무엇인가요?

중학교 시절 배운 집합 기억하시나요? 정말로 이와 유사한 것이 바로 파이썬 집합 자료형입니다. 파이썬에서도 집합 자료형을 지원하는데요. 집합 자료형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바로 집합에는 자료의 순서가 없다는 것입니다. 즉, 순서가 없는 변수 자료의 합을 집합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집합 자료형 어떻게 표현하나요?

아래 코드를 참고하시죠

 

 >>> fruits = {'banana', 'apple', 'mango', 'strawberry', 'pear'}

>>> fruits
{'strawberry', 'apple', 'pear', 'banana', 'mango'}

 

위와 같이 집합자료형은 {}를 사용해서 표현합니다. 제가 넣은 데이터 순서와 다르게 출력되는 것이 집합 자료형의 출력 형태입니다.

 

 

집합 자료형으로 중복 없애기

집합을 통해서 파이썬에서는 중복되는 자료를 없애주면 됩니다. 중복된 자료가 있는 데이터를 집합형 자료로 넣어주면 됩니다. 아래 코드를 참고하시죠.

 

 

위의 코드처럼 [ ] 에서는 중복되는 자료가 있습니다. 이를 print해보면 그대로 데이터가 나오는데요. 이를 set이라는 함수를 통해서 집합으로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즉, set을 통해 집합이 된 kinds라는 변수는 print를 했을 때, 중복되는 자료가 모두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len 함수를 출력해보아도 5가지로 축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집합형 자료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상대적으로 간단한 것 같습니다. 모두들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이상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