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이야기

Part 10. 파이썬의 함수에 대해 알아보자.

by 핸들이없는8톤트럭 2022. 7. 20.
반응형

파이썬의 함수란 무엇인가요?

파이썬의 함수는 알아두면 정말로 유용한데요. 파이썬의 함수는 자주하는 일을 미리 적어두고,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할 일을 미리 적은 것을 함수라고 합니다. 또한, 함수를 만들어 내는 것을 함수를 정의한다고 표현합니다. 마지막으로,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호출한다고 합니다. 아래의 코드를 참고하시죠

 

def hello():

    print("Hello, World!")

 

>>>hello()

Hello, World!

 

 

함수를 만들어낼 때는, 맨 앞에 def를 씁니다. 함수를 정의한다는 명령어이죠. 그 다음, hello는 함수의 이름입니다. hello를 통해서 내가 정의한 함수를 호출할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함수를 호출하면, 우리가 정의해놓은 print 함수가 출력되는 것이죠. 함수를 쓸 때는, ()를 쓰는 것을 까먹지 말고 꼭 써주세요!

 

 

또한, 아래 코드와 같이 입력을 다르게 했을 때, 다르게 동작하는 함수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def hello(person):

    print("Hello, (person)")

 

>>>hello(gildong)

Hello, gildong!

 

위와 같이 함수를 이용해서 유용하게 함수를 호출할 수 있기에, 우리가 함수를 작성하는 것이죠.

 

 

함수의 정의와 호출

함수는 입력을 받을수도 있고 출력도 할 수 있는데요. 입력은 소괄호()로 받고 출력은 return 키워드를 이용합니다.

 

def hello_function(name):

    s = f'Hello, (name)!'

    return s

 

text = hello_function('gildong')

>>>print(text)

Hello, gildong!

 

위와 같이 함수를 정의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return이라는 함수는 값을 출력합니다. 즉, text에 값을 출력하는 함수를 우리는 만들어냈는데요. 이를 확인하기 위해 text를 출력하면 실제로 입력한 값이 들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수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구현하기

 

def multi_io_funtion(str1, str2):

    return1 = ' '.join([str1, str2])

    return2 = ' '.join([str2, str1])

    return return1, return2

 

res1, res2 = multi_io_funtion('Hi', 'Gildong')

print(res1)

print(res2)

 

결과값

Hi Gildong

Gildong hi

 

위와 같이  우리가 만든 함수가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join은 두 가지의 변수 값을 받아서 ' '안의 띄어쓰기 한 다음, 합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Hi와 Gildong을 입력받았을 때, 합쳐진 res1은 Hi gildong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의 함수를 통해서 정말 많은 것들을 할 수 있는데요. 많은 연습이 필요해보이네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