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서 주변 사람들이 많이 눈병에 걸리는 것 같아요. 오늘은 눈병의 한 종류인 각막염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각막염이란?
각막염은 각막조직의 염증입니다. 각막은 안구 표면의 검게 보이는 부분으로 안구의 외막 중 정중앙 부위에서 안구 전면의 약 1/6을 차지하며 실제는 투명한 조직입니다. 각막염은 일상적인 착용 접촉을 사용하고 밤에 꺼내는 사람들보다 장시간 착용 접촉을 사용하거나 지속해 접촉하는 사람들에서 더 흔합니다. 각막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질을 일으키는 박테리아는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어떤 물체가 각막 표면을 긁거나 손상하면 비감염성 각막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상으로 인해 미생물이 손상된 각막에 접근하여 감염성 각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각막염은 동공과 홍채를 덮고 있는 눈앞 쪽의 투명한 돔 모양 조직인 각막의 염증입니다. 각막염은 감염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비감염성 각막염은 콘택트렌즈를 너무 오래 착용하거나 눈의 이물질로 인해 비교적 경미한 부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염성 각막염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및 기생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눈이 붉어지거나 각막염의 다른 증상이 있으면 의사를 만나세요. 즉각적인 주의를 기울이면 경증에서 중등도의 각막염 사례는 일반적으로 시력 손실 없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거나 간염이 심한 경우 각막염은 시력을 영구적으로 손상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이 심하면 안구 표면의 상태가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비감염성 각막염이 생길 수 있고, 이차적으로 감염성 각막염 또한 생길 수 있습니다. 인공눈물을 자주 사용하는 것만으로 각막염에 걸리지는 않습니다. 인공눈물뿐만 아니라 안약의 보관 및 점안 시에는 감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각막염의 정도에 따라 치료 기간은 다양하며 심하면 약물치료가 끝난 후에도 각막혼탁, 시력 저하 등의 합병증이 남게 됩니다. 결막염은 그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알레르기성, 세균성 등으로 나뉘며 결막염이 심하면 각막염도 동반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결막염과는 달리 각막염은 시력에 영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평소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은 렌즈의 소독 및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렌즈를 너무 오래 착용하거나, 렌즈를 끼고 있는 상태로 자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서클렌즈 등의 컬러렌즈를 끼지 않도록 하며, 렌즈를 친구와 바꿔 사용하거나 인터넷에서 중고 렌즈를 구매하지 않도록 합니다. 눈에 통증, 충혈, 눈부심, 시력 감소가 나타나는 경우, 빨리 안과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의사의 처방 없이 안약을 함부로 넣지 않도록 합니다.인공눈물, 안연고, 치료용 콘택트렌즈 등이 치료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각막염은 초기에 잘 치료하지 않으면 시력을 회복하기 힘든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세균성, 바이러스성, 진균성 등의 감염성 각막염에는 주로 항균제를 투여하며, 비감염성 각막염은 그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릅니다.
각막염 종류
각막염은 염증을 일으키고 있는 병원체의 종류에 따라 세균 각막염, 진균 각막염, 아칸트아메바 각막염, 헤르페스 각막염 등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하는데요. 세균 각막염눈에 들어간 쓰레기와 모래, 콘택트렌즈 등으로 인해 각막에 생긴 상처를 통해 세균이 침입하여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세균의 종류에 따라서는 진행이 빠르기 때문에 방치하면 실명할 위험성도 있으므로 즉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균 각막염식물이 각막을 손상시키거나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교체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면역 억제제를 오래 사용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곰팡이(진균)가 각막에 감염되어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고 합니다.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특징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칸트아메바 각막염강이나 늪, 공원의 모래, 세면장 등에 존재하는 아칸트아메바라는 미생물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각막염입니다.
콘택트렌즈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각막염에 비해 눈의 통증이 심합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헤르페스 각막염헤르페스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각막염입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몸속에 잠복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한 번 치유되더라도 컨디션 불량이나 스트레스 등을 계기로 재발할 수 있습니다.
각막염 증상
"눈의 통증이나 이물감, 눈곱이 많이 생긴다, 눈물이 난다, 눈이 충혈됩니다, 눈꺼풀이 붓는" 등의 각막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각막이 하얗게 혼탁해져 시력이 저하되거나 평소보다 눈부심을 더 느낄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각막염 증상이 악화되면 각막이 얇아져 구멍이 뚫릴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실명할 위험성도 존재합니다.
또한, 치료에 의해 원인이 되는 미생물이 제거되어도, 각막의 혼탁이 남는 경우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세균 각막염이나 진균 각막염 증상으로는 눈의 심한 통증이나 대량의 눈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각막이 하얗게 혼탁해지거나 눈이 충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세균 각막염은 증상이 비교적 심하고 진행이 빠른 것이 특징입니다.
아칸트아메바 각막염 증상으로는 밤에 잠들 수 없을 정도의 심한 통증이 나타나는 반면에, 헤르페스 각막염의 경우에는 비교적 통증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헤르페스 각막염은 한 번 완치된 후에도 스트레스나 컨디션 불량을 계기로 재발할 수 있습니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잡다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도결석이란, 원인, 증상,치료 방법, 예방법 (2) | 2023.01.02 |
---|---|
ADHD란?, 원인, 증상, 치료방법, 성인 ADHD (0) | 2023.01.01 |
내성 발톱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0) | 2022.12.28 |
영국, 유럽연합, 브렉시트 (1) | 2022.12.20 |
금본위제란?(역사, 브레튼우즈 체제, 스미소니언 체제, 킹스턴 체제) (0) | 2022.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