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8톤 트럭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보유세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요새들어 하루가 다르게 부동산이 오르면서 많은 분들이 부동산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알기 쉽게끔 잘 설명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바로 레츠게릿!!
부동산 보유세가 무엇인가요?
부동산 보유세는 부동산의 소유하는 사람에게 나라에서 부과하는 국세입니다. 보유세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재산세가 있습니다. 또 일정한 조건을 넘는 사람에게는 종합부동산세도 매기게 되는데요. 그래서 재산세+종합부동산세를 합쳐서 보유세라고 부르게 됩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기준에 의해서 세금이 부과되는지 같이 알아봅시다!
종부세는 부과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종부세 부과의 기준은 바로 공시가 9억원 기준입니다. 최근 들어서 정치권에서 1주택자에 한하여 11억원으로 증진시키고자 논의를 하고 있는데요. 아마 조만간 11억원이 기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즉, 현재는 공시가가 9억원 이하는 재산세만 납부하고 종합부동산세는 납부하지 않는 형태인 것이죠.
재산세 납부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재산세 납부 기준은 많은 경우가 있기에 조금 까다로운데요. 그래도 다양한 경우에서 이해하기 쉽게끔 한 번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재산세 과세 표준 계산하기
우선 재산세 납부 기준이 되는 과세 표준은 공시가랑 다른데요. 현재의 우리 집의 공시가에 0.6을 곱하면 됩니다.
즉, 재산세 과세 표준 = 공시가 x 0.6
2. 과세 표준별 재산세 계산하기
(1) 6000만원 이하 - 0.1%
(2) 6000만원 ~ 1억 5천 이하 - 0.15%
(3) 1억 5천 ~ 3억 - 0.25%
(4) 3억 초과 - 0.4%
부동산 세금의 경우 워낙 많은 국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기에 정책이 하루하루 바뀌어서 집을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뉴스에 귀기울이며 정책에 주의하셔야할 것 같아요!! 네이버에 "부동산 보유세 계산기"라고 검색하시면 편안하게 보유세를 계산하실 수 있어요! 오늘의 포스팅 함께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잡다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화 스와프는 무엇인가?(통화 스와프의 모든 것) (0) | 2022.06.06 |
---|---|
투자자 예탁금이란 무엇인가?(예탁금의 모든 것) (0) | 2022.06.06 |
근저당이란 무엇인가?(근저당의 모든 것) (0) | 2022.06.04 |
전환사채란 무엇인가?(전환사채의 모든 것) (0) | 2022.06.04 |
청년 내일 채움 공제란 무엇인가?(내일채움공제의 모든 것) (0) | 2022.06.01 |
댓글